새가 항공기와 충돌하는 일이 간혹 발생하는데, 새가 항공기에 부딪히면 그 충격은 어느 정도인지요. 또 이를 예방하기 위해 관련 기관에서는 어떤 조치들을 취하고 있나요? 영어로 ‘버드 스트라이크(Bird Strike)라고 흔히 말하는 조류의 항공기 충돌은 상황에 따라서 항공기에 큰 피해를 입히기 때문에 각 공항...
항공기가 목적지에 근접했으나 도착 공항의 기상이 좋지 않아 착륙할 수 없으면 어떻게 하나요? 목적지 공항이 기상 악화나 다른 천재지변 등으로 인해 정상적인 항공기 착륙이 어려울 때를 대비해 항공기 출발 전에 목적지 공항 주변에 착륙 가능한 공항을 선정해 둠으로써 비행기 및 승객의 안전을 도모합니다. 이때 ...
세계 최초의 객실승무원은 누구였나요? 객실승무원의 역사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민간 항공기의 역사만큼이나 오래된 것이 객실의 천사, 객실승무원입니다. 여객기에 객실 전문요원을 도입, 가장 먼저 객실승무원을 탑승시킨 항공사는 1928년 독일의 루프트한자였습니다. 그러나 이 때는 여승무원이 아닌 남자 승무원, ...
간혹 항공기가 착륙할 때 기내에서 접지 충격의 차이가 느껴지는 것은 조종사의 실력에 따른 건가요? 항공기 착륙과 관련해 흔히 하는 오해 가운데 하나가 바로 사뿐한 접지가 기술적으로 숙련되고 안전한 것이라는 생각입니다. 바퀴가 활주로에 닿았는지도 모를 정도로 부드럽게 접지하면 승객들은 비행기 조종을 잘하...
겨울철 항공 운항의 최대 불청객은 눈이다. 눈이 내려 쌓이면 활주로와 유도로 제설 작업이 필요하며, 가끔 항공기 지연도 발생하게 된다. 제설 차량을 이용해 활주로와 유도로의 쌓인 눈을 치우는 모습은 고속도로 등 일반 도로에서 이뤄지는 장면과 크게 다르지 않다. 하지만, 공항에서만 이뤄지는 특별한 무엇이 하나...
여러분들께서 항공기에 탑승해서 이륙을 기다리시는 동안, 어떤 영상을 가장 먼저 만나게 되시나요? 탑승객이 항공기에 탑승해서 이륙을 기다리는 동안 가장 먼저 만나게 되는 영상은 기내 안전 비디오(Pre-flight Safety Video), 혹은 기내 안전 데모(Pre-flight Safety Demonstration)이라고 불리는 영상입니다. 최근 ...
자동차 운전자라면 누구나 한 두 번씩은 연료 경고등이 켜져 가까운 주유소를 급히 찾은 경험이 있다. 항공기는 자동차와는 상황이 다르다. 하늘을 비행하는 항공기의 연료 부족은 안전 저해 요소다. 그렇다고 해서 무거운 연료를 탱크에 가득 채워 비행하는 것은 경제적으로 비효율적이다. 위 그림은 일본 오사카 공항 ...
항공 여행의 필수품 수하물. 공항에서는 가끔 수하물이 파손된 승객을 보게 된다. 승객이 탑승수속 카운터에서 위탁한 수하물은 벨트 또는 직원에 의해 공항에 마련된 수하물 분류 지역으로 이동 후 항공기에 실리게 되며, 도착지에서도 승객이 수하물을 최종적으로 수취하기까지 일정한 경로를 따라 이동한다. 이 과정...
민항기 조종사들의 비행세계…“하늘과 지상은 문자로 교감한다” 수백명의 생명·안전 위해 한 순간의 긴장 놓치지 않는 조종사와 승무원들 글로벌 창공 누비는 대한항공…일일운항편수 국제선 275편·국내선 150편 등 총 450여편, 지금 이 순간에도 평균 85여 기 하늘에 떠 있어 필자는 최근 캐나다 토론토행(行...
10월 26일(토)과 10월 27일(일) 인천→하와이 노선을 운항하는 대한항공 KE053편의 운항 스케줄이다. KE053편명으로 동일한 노선에, 같은 기종의 항공기가 운항됨에도 불구하고 단 하루만에 스케줄의 큰 변화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출발과 도착 시간이 전체적으로 앞당겨진 것 뿐 아니라 8시간 35분 걸리던 비행 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