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트

[항공상식Q&A] 교체공항은 어떻게 선정될까요?
2020.04.14 링크주소 복사 버튼 이미지 페이스북 공유하기 버튼 이미지 카카오톡 공유하기 버튼 이미지 트위터 공유하기 버튼 이미지 링크드인 공유하기 버튼 이미지 인쇄하기 버튼 이미지

항공기가 목적지에 근접했으나 도착 공항의 기상이 좋지 않아 착륙할 수 없으면 어떻게 하나요?

목적지 공항이 기상 악화나 다른 천재지변 등으로 인해 정상적인 항공기 착륙이 어려울 때를 대비해 항공기 출발 전에 목적지 공항 주변에 착륙 가능한 공항을 선정해 둠으로써 비행기 및 승객의 안전을 도모합니다.

이때 선정되는 공항을 교체공항(Alternate Airport)이라고 합니다. 모든 항공사들은 항공기 출발 전 최소한 1개 이상의 교체공항을 반드시 지정하여 만일의 사태에 대비합니다.

인천공항 터미널2

우리나라는 김포공항이 기상 및 여타 상황으로 인해 착륙이 불가능할 경우 거리가 비교적 가까운 인천공항을 교체공항으로 선정하고, 반대로 인천공항이 착륙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CIQ(Customs, Immigration and Quarantine: 세관, 출입국관리, 검역), Curfew Time(야간운항제한시간) 등을 고려, 업무 지원이 가능한 상황에서만 김포공항을 교체공항으로 선정하고 있습니다.

김포공항과 인천공항 모두 악기상으로 착륙이 불가능한 경우는 기타 국내 공항의 기상 조건을 확인해 국제선은 청주공항, 제주공항 및 김해공항을 주로 선정하고 있으며, 국내선은 착륙 공항과 거리가 가까운 다른 공항을 선정하고 있습니다.

교체공항은 우선 항공기 운항규정상 그곳의 기상이 교체공항으로서의 조건을 충족해야 하며, 원래 착륙 예정 공항으로부터의 거리 및 공항 시설, 지상 조업 여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선정합니다.

교체공항이 너무 멀리 있거나 해양 지역의 섬과 같이 주변에 공항이 없어 목적지 교체공항을 선정할 수 없을 때는, 기상 등 운항 조건을 더욱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순항속도를 기준으로 최소 2시간 동안 비행할 수 있는 추가 연료를 탑재해 운항해야 합니다.

이와 같이 항공사에서는 항공기의 절대 안전 운항을 최우선의 가치로 삼고, 비행 계획 단계에서부터 항공기가 목적지에 도착하는 순간까지 만반의 준비와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습니다.

*대한항공 뉴스룸의 콘텐츠 활용시, 출처 [대한항공 뉴스룸] 표기 부탁 드립니다.